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
홈 > 사회 > 사회
사회
사회

서울시내 AI 확산차단 가능할까…市 방제능력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7-02-06 11:51 조회387회 댓글0건

본문


2015년 2월에 이어 2번째로 서울시내 야생 조류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하면서 서울시에 비상이 걸렸다. AI 확산을 막기 위해 서울시와 자치구가 인력을 총동원하고 있다.

서울시는 AI 확산을 막기 위해 6일 현재 시민건강국 동물보호과와 푸른도시국 자연생태과, 그리고 한강사업본부 환경과가 나서고 있다.

한강사업본부는 사실상 전 직원을 AI 확산 차단을 위해 투입한 상태다. 뿔논병아리 폐사체가 발견된 성동구에서도 구청 지역경제과를 중심으로 인력이 투입되고 있다.

이외에 야생조수류 예찰지역으로 지정된 종로구·중구·용산구·성동구·광진구·동대문구·중랑구·성북구·강북구·노원구·서대문구·마포구·영등포구·동작구·관악구·서초구·강남구·송파구·강동구 등 19개 자치구의 보건소도 관내 가금류의 반·출입과 가축 분뇨, 깔집, 알 등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비상이 걸렸다.

이들이 관리해야할 가금류는 50곳에 있는 872마리다. 닭 649마리, 오리 2마리, 기타 동물원 조류 등 221마리 등이다.

여기에 서울시내 주요 철새도래지도 주요 점검대상이다. 주요 철새도래지는 강서습지생태공원·고덕수변생태복원지·밤섬·성동살곶이공원·암사생태공원 등이다.

하천중에는 양재천·탄천·안양천·중랑천·도림천·성북천·정릉천·우이천·청계천 등에, 호수중에는 월드컵공원내 호수·건국대 일감호·항동저수지·구암근린공원·석촌호수 등에 철새가 서식해 AI 확산 방지를 위해선 점검이 필요하다.  

뿔논병아리 폐사체가 발견된 곳으로부터 약 3㎞ 떨어진 곳에 위치한 서울어린이대공원 동물원도 점검 대상이다. 천연기념물인 독수리·원앙·수리부엉이·큰고니·두루미 등 180여마리가 사육되고 있는 이 동물원은 지난해 12월 중순부터 폐쇄된 상태다.

그러나 서울시내에는 가금류를 대규모로 키우는 전업농가가 없다는 이유로 자치구내 가축방역 인원이 부족한 상황이다.

AI 확산시 살처분을 주도하게 될 서울시내 각 자치구에는 수의직 공무원이 1명씩 배치돼있는데 이들의 주요 업무는 먹거리 안전을 관리하는 '축산물 위생관리 업무'다. 이에따라 이들이 살처분 등 가축방역업무까지 맡게 되면 과부하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한 관계자는 "자치구에 최소한 2명 이상 (수의직 공무원이) 배치돼야 하는데 현실은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이처럼 열악한 상황이지만 가금류 농가가 많은 타 지역에서도 방역업무 인력이 부족한 탓에 서울시가 인력충원을 강하게 요구하기도 어려운 실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따라 수주일간 이어질 가금류 반·출입 제한 조치와 방역작업 과정에서 인력 부족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시에는 대규모 가금류 전업농가가 없어서 전파 위험은 대단히 낮다. 서울시내 가금류는 상업 목적이 아니어서 반출한다거나 새로 들여오는 사례가 없어서 전파 위험은 낮다고 본다"면서도 "철새는 자연스레 왕래하니까 신경을 쓰고 임상검사나 예찰을 하겠다"고 밝혔다.

  • 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