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
홈 > 사회 > 사회
사회
사회

1년새 구직·실업 반복…정착 못하는 '뜨내기' 청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7-02-13 11:39 조회504회 댓글0건

본문

"언제까지 놀 수 없다는 불안감에 일단 취업은 했지만, 다시 면접 보러 다니고 있어요." 1년 이상 아르바이트와 취업준비를 병행하다 최근 서비스기업에 입사한 K씨(24ㆍ여)는 틈날 때마다 입사 면접을 보고 있다. 고된 2교대 근무까지는 그럭저럭 버틸만 했지만, 정규직이 아니라는 불안감이 컸기 때문이다. 하지만 좀처럼 쉽지 않다. 며칠 전 찾은 한 중소기업은 대놓고 "결혼하면 그만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기업은 1년 근무 후 정규직 전환을 면접 조건으로 내걸었다. K씨는 "정규직 전환이 될 지, 안될지도 사실 알 수 없는 것 아니냐"며 "평생 뜨내기로 취업준비만 할 판"이라고 한숨을 내쉬었다.

또 다른 취업준비생인 N씨(29)는 정규직 전환을 약속받고 2년간 일했던 회사에서 지난해 말 퇴사했다. 전 직장 이름을 듣는 것조차 싫을 정도로 트라우마로 남았다. N씨는 "다신 비정규직으로 입사하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새로운 직장을 알아보고 있지만 커리어를 이어갈 수 있는 자리자체가 많지 않다"고 얼굴을 찡그렸다. 그는 현재 해외 MBA 진학에 대해 고심 중이다.

대한민국 청년층이 떠돌고 있다. 좀처럼 직장을 찾지 못해 아르바이트를 전전하는 비자발적 프리터부터, 불과 1년 남짓 사이에도 몇 차례 취업과 실업을 반복하는 뜨내기 청년들까지 점점 늘어나는 추세다. 어딘가에 정착하지 못하고 둥둥 떠다니는, 이른바 '부유세대'인 셈이다.

특히 이들의 일자리 문제는 미래세대의 문제라는 점에서 그 심각성이 크다. 실업과 빈곤이라는 개인의 불행을 넘어 사회경제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국가가 부양해야할 빈곤층으로 전락할 가능성도 크다.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은 "청년실업은 미래에 심각한 인적자원 기근이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올 수 있다"며 "그 때는 우리 경제ㆍ사회가 큰 대가를 치러야 할 것"이라고 그 심각성을 경고하기도 했다.

13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청년 취업애로계층은 110만명을 웃돌고 향후 몇년간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9.8%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청년실업률은 올해 연간기준으로도 두 자릿수가 확실시되고 있다. 3년 연속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우는 것이다. 이는 청년층 생산가능인구가 2005년 992만명에서 지난해 하반기 940만5000명 등으로 줄어들고 있는 것과 대비된다.

아르바이트를 하며 구직활동 중인 학생, 취업하지 않은 채 직업훈련 등도 받지않는 니트(NEET)족 등 통계기준에 미처 반영되지 못한 사실상의 실업자들까지 포함하면 체감실업률은 30~40% 수준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160만명 상당으로 추산되는 청년니트족의 경우 80% 이상이 일자리를 찾지 않는 '비구직상태'로 파악된다.

한국고용정보원 관계자는 "아르바이트생, 시간제일자리 종사자 등의 대부분이 본인을 실업자 ·구직자로 생각하고 있지만, 공식 통계상에는 취업자로 분류된다"며 "질 좋은 일자리 창출이 그만큼 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나마 직장에 취업하더라도 한 직장에서 커리어를 이어가기가 쉽지 않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 따르면 노동시장에 진출한 청년 대졸자의 19.8%가 대학 졸업 후 2년 내 이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 신입사원조차도 3년내 이직비율이 60%를 웃돌았다. 처우가 열악한 중소영세업체의 경우 이 같은 비율이 더 높았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커리어 향상 등을 위한 자발적 이직도 있지만, 질 낮은 일자리로 일을 시작하다가 그만둔 후 다시 실업과 취업을 오가는 청년층이 더 많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문제는 이 같은 청년 일자리 문제가 경제의 잠재성장력을 떨어뜨리고 사회전반의 문제로 확대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일하지 않고 부모에게 얹혀사는 캥거루족이 늘어나면서 향후 은퇴후 부모세대의 빈곤문제, 세대갈등, 국가의 부양부담 등으로 번질 가능성도 크다.

방하남 한국노동연구원장은 "청년층의 불안정 고용은 잦은 이직이 숙련기술 형성을 저해함으로써 미래 세대의 인적 자본 축적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꼬집었다. 이 장관은 "5~10년 사이에 본격화될 '4차 산업혁명'을 이끌 사람들은 현재의 청년들"이라며 "지금이라도 속도를 붙여서 노동개혁을 실천하고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면 청년과 미래세대에 희망을 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 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