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
홈 > 오피니언 > 기획칼럼
기획칼럼
기획칼럼

한국 원전밀집도 세계 최고, 사고 한번에 궤멸위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6-09-28 15:18 조회610회 댓글0건

본문

                                                                        한효상

 


한국원전 밀집도가 세계 최고 수준이어서 한번의 사고 발생시 초대형 위기를 불러온다는 지적이다.

지난 경주 지진 후유증이 심각하다. 430회 이상 지속된 여진도 이례적이다. '한반도=지진안전지대'라는 신화가 깨진 것은 물론 경주 울진 일대에 밀집한 원자력발전소의 안전 논란이 다시 부각된 탓에 주민 불안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한국수력원자력 측은 진도 6.5에 맞춰 내진설계가 된 만큼 원전들은 일단 지진 충격이 올 경우 자동 정지하고 비상발전기나 수소 배출 장치 등 이중삼중의 장치가 돼 있다고 강조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전에 대한 불안감이 좀처럼 가라앉지 않는 것은 2013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후쿠시마 사태를 눈앞에서 목도한 영향이 크다.

원자력 전문가들은 후쿠시마 사태는 매우 이례적이고 인재(人災)에 가까운 사고였다고 하지만 원전 사고가 발생할 경우 얼마나 치명적이고 복구 불가능한 피해를 입는지 전 세계인이 이처럼 생생하게 절감한 사태도 드물다. 후쿠시마 사태의 경우 자체 전력과 외부 전력이 모두 끊긴 상태에서 하필 쓰나미로 지하 비상발전기까지 침수되는 바람에 원자로 과열이 수소 폭발로 이어졌다.

자체 전력-외부 전력-비상발전기가 모두 불능 상태에 빠지는 것도 흔치 않은 일인 데다 최악의 경우 강제적으로 수소를 배출해주기만 했어도 폭발까지는 안 갔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하지만 원전은 사고 자체가 워낙 드물다 보니 모든 것이 시뮬레이션에 의존한다는 치명적인 약점이 있다. 실제 사고에서 인간이 생각하지 못한 몇 가지 변수가 겹치면 언제든 뜻하지 않은 재앙이 닥칠 수 있다는 것을 후쿠시마 사태가 역설적으로 보여줬다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우리나라는 전 세계 어느 나라보다 원전 밀집도, 원전 주변 인구 밀집도가 높아 단 한번의 사고만으로도 궤멸적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게 문제다. 우리나라는 원전의 국토 면적당 설비용량은 물론이고 단지별 밀집도, 반경 30㎞ 이내 인구수 등이 모두 세계 1위다. 2014년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작성한 '원전 국제 밀집도 비교' 자료에 따르면 한국은 국토면적 9만9720㎢에 8만721㎿ 발전용량의 원전을 가동해 밀집도가 0.207이었다.

원전을 10기 이상 보유하고 있는 나라들 중에서 가장 높다. 2위인 일본은 0.112로 한국의 절반 수준이다. 원전 100기를 운영해 가장 많은 원전을 보유한 미국도 밀집도는 0.01로, 한국의 20분의 1에 불과하다. 이 비교를 진행할 당시 우리나라는 원전 23기를 운영 중이었는데, 현재는 25기로 늘어서 밀집도는 0.282(올해 6월 기준·에너지정의행동 분석)로 더 높아졌다.

 원전 단지별로 본 밀집도는 더 심각하다. 환경단체 그린피스 서울사무소는 "8기가 있는 고리 원전은 이미 캐나다의 브루스 원전과 함께 세계 최다 원자로(기) 밀집 단지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설비용량을 기준으로 할 경우 고리 원전은 8260㎿로 브루스 원전(6700㎿)을 능가한다. 고리 원전은 반경 30㎞ 이내 인구도 380만명에 이른다.

"전 세계에서 원전이 6기 이상 몰려 있는 단지 중에서 주변에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는 곳"이라고 그린피스 측은 지적하고 있다. 고리뿐 아니라, 월성·한울·한빛 등 우리나라 모든 원전 단지가 세계 최다 원자로 밀집 단지 10위 안에 든다. 고리 원전 주변에만 382만명, 월성 원전은 130만명, 한울 원전은 5만명, 한빛 원전은 14만명이 밀집돼 있는 형편이다. 정부 당국은 서둘러 안전 대책 마련에 나서야 피해를 줄일수 있다.

 한국의 원전 인구 밀집도는 만약의 사고 발생 시 치명적인 결과로 연결될 수밖에 없다. 옛 소련의 체르노빌이나 일본의 후쿠시마처럼 대형 사고가 날 경우 신속한 대피는 아예 불가능하다. 원전 주변에 워낙 많은 인구가 몰려 있는 데다 대피시설이나 교통체계, 방사선 보호장구 등이 제대로 준비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정부는 원전 8~10㎞ 인근 지역을 방사선 비상계획 구역으로 지정해 보호시설을 갖추고 대피 훈련을 벌이지만, 그 밖의 지역은 방사선 방재 체계 자체를 세워두지 않았다. 체르노빌 발전소 반경 30㎞ 지역은 지금도 일반인 출입이 불가능한 소개 지역이고, 후쿠시마 원전은 20~30㎞ 반경에 주민 대피, 외출 금지 조치를 한 것과 비교될 수밖에 없다.

 

  • 글이 없습니다.